카테고리 없음

불교사회연구소.. 미래비전이 제일 좋은 종교는 불교..(노령화사회대비)

정진공 2011. 11. 1. 19:27

"종교계 신뢰도 대기업보다 낮아"(종합2보)

종교신뢰도는 가톨릭ㆍ영향력은 개신교ㆍ평화적 종교는 불교 1위
종교인 정치 참여는 '부정적'..종교인 소득세 부과는 '찬성'

(서울=연합뉴스) 황윤정 기자 = 한국 사회에서 종교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대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.

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지난 9월26일부터 10월15일까지 전국 16-69세 남녀 1천512명을 대상으로 '한국의 사회문화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'를 실시한 결과 5점 만점에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도는 2.89였으며 분야별로는 종교계가 3.00으로, 의료계(3.22), 시민사회(3.22), 학계(3.16), 대기업(3.12), 교육계(3.01)보다 낮았다.

국회.정당(2.17), 정부.지자체(2.48), 언론계(2.86), 금융계(2.88)는 평균을 밑돌았다.

각 종교에 대한 신뢰도는 가톨릭이 4.11로 가장 높았다.

이어 불교(4.05), 개신교(3.34), 원불교(2.31), 이슬람(1.20) 순이었다.

자기 종교 지도자에 대한 신뢰도는 신부(4.91), 스님(4.83), 목사(4.64) 순으로 나타났다.

한국 사회에서 종교 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로는 개신교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.

응답자의 57.0%는 '종교 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'로 개신교를 꼽았으며 그다음은 불교(12.7%), 이슬람교(8.7%), 원불교(3.8%), 가톨릭(2.8%) 순이었다.

종교 간 갈등이 일어나는 주요 영역으로는 '개신교-불교'라고 답한 이가 41.6%로 가장 많았다. 이어 '종교인-비종교인'(17.0%), '개신교-비종교인'(9.9%), '가톨릭-개신교'(6.3%), '개신교-이슬람교'(4.2%) 순이었다.

개신교는 한국 사회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종교로도 꼽혔다.

응답자의 53.2%가 '한국 사회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종교'로 개신교를 꼽았으며 불교(23.7%), 가톨릭(17.6%)이 그 뒤를 이었다.

종교정당을 통한 종교인의 정치참여에 대해서는 '매우 적절하지 않다'(26.0%), '다소 적절하지 않다'(25.5%), '적절하지는 않지만 그럴 수 있다'(35.1%) 등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. '당연한 일' '매우 당연한 일'이라는 의견은 2.6%, 0.9%에 불과했다.

종교인에 대한 소득세 부과에 대해서는 '반대도, 찬성도 아니다'(32.5%), '찬성하는 편이다'(31.0%), '적극 찬성한다'(12.5%), '반대하는 편이다'(18.7%), '적극 반대한다'(5.2%) 등 찬성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.

현 정부가 종교차별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'전혀 그렇지 않다'(1.7%)와 '그렇지 않다'(38.0%)는 응답이 39.7%로 '그렇다'(25.9%)와 '매우 그렇다'(7.3%)라는 의견(33.2%)보다 약간 많았다.

'종교적 차별을 받는 종교'로는 불교(40.0%), 개신교(34.9%), 이슬람교(13.1%) 순으로 꼽혔다.

'종교평화법' 제정에 대해서는 '반대도, 찬성도 아니다'는 응답이 61.2%로 가장 많았으며 찬성은 29.3%, 반대는 9.5%였다.

'가장 평화적인 종교'는 불교(35.7%), 가톨릭(23.5%), 개신교(18.7%) 순이었으며 평화적인 종교가 없다는 응답도 20.8%에 달했다.

'미래가 가장 밝은 종교'는 불교(34.5%), 가톨릭(32.5%), 개신교(26.8%), '고령화 현상에 가장 긍정적인 기여를 할 종교'는 불교(32.5%), 개신교(31.8%), 가톨릭(28.0%) 순이었다.

'현대사회에서 가장 바람직한 스님의 역할'로는 '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에 전념하는 것'이 52.0%로 스님의 현실 참여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. 이어 '자비정신을 사회에 구현하는 것'(22.0%), '계율을 잘 지키면서 청정하게 생활하는 것'(16.9%) 등의 순이었다.

또 응답자의 45.2%는 불교 교단과 사찰의 재정 운영 투명성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했으며, 조계종이 최대 과제로 추진 중인 자정 운동인 '자성과 쇄신 결사 운동'을 모른다는 응답도 75.5%에 달했다.

스님의 육식 허용에 대해서는 24.6%가 '긍정적'이라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.

이 밖에 응답자의 64.2%는 현 정부의 국정 운영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대답했으며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는 빈부격차, 실업 및 빈곤, 정치 불안정, 환경문제, 노인문제 등을 꼽았다.

선택적 복지를 지지하는 응답자(77.8%)가 보편적 복지를 주장하는 응답자(10.2%)보다 많았으며 북한에 대한 인식은 통일 대상(31.2%), 경계 대상(28.1%), 협력 대상(14.5%), 적대 대상(12.8%), 지원 대상(8.9%)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.

불교사회연구소장 법안 스님은 "이번 대국민 여론조사는 급격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해 현재 한국사회의 정치, 사회, 문화, 복지 및 종교 현상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불교를 비롯한 한국의 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며, 불교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이뤄졌다"고 밝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