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9?1261755005.jpg)
무.재.칠.시[無財七施]- 잡보장경[雜寶藏經]
어떤 사람이 하는 일마다 풀리지 않아 부처님을 찾아가 호소했습니다. "부처님 저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 일이 없으니 이 무슨 까닭입니까?" "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았기 때문이니라." "저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빈털털이입니다. 남에게 줄 것이 있어야 주지 도대체 무얼 준단 말씀입니까?" "그렇지 않느니라, 아무 재물財物이 없더라도 베풀[施]수 있는 일곱 가지는 있는 것이다.[七施]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0?1261755005.jpg)
1. 화안시(和顔施)
얼굴에 밝은 미소를 띠고 부드럽고 정답게 대하는 것이다. 얼굴에 환하고 기쁨 가득찬 미소를 머금은 표정은 그 자체로도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편안함을주는 소중한 보시(布施)가 되는 것이니라.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4?1261755005.jpg)
2. 언사시(言辭施)
공손하고 아름다운 말로 대하는 것을 말하니 사랑의 말,칭찬의 말, 격려의 말,양보의 말,부드러운 말 등이다 우리가 몸으로 짓는 열가지 업중에 [身口意] 입으로 짓는 업[口業]이 네가지나 된다는 점을 보더라도 말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수 있을 것이니라. [妄語 綺語 兩舌 惡口]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3?1261755005.jpg)
3. 심시(心施)
착하고 어진 마음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것이다. 이것은 우리의 자비심으로 이웃들에게 베푸는 보시행으로 우리가 늘 따뜻하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사람을 대하는것도 소중한 보시(布施)니라.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5?1261755005.jpg)
4. 안시(眼施)
호의를 담아 부드럽고 편안한 눈빛으로 대하는 것을 말한다. 부드럽고 안온한 눈빛 하나로도 충분한 보시(布施)가 되느니라.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6?1261755005.jpg)
5. 신시(身施)
몸으로 베푸는 것으로 남의 짐을 들어 준다거나 예의바르고 친절하게 남의 일을 돕는 것이다. 사람을 만나면 공손하고 반갑게 인사하고, 어른을 만나면 머리 숙여 인사 할 줄 알고, 공손하고 예의 바른 몸가짐은 사람들에게 훈훈한 마음을 안겨 주는 보시행(布施行)이니라.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7?1261755005.jpg)
6. 상좌시(床座施)
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내주어 양보하는 것이고, 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비워주는 것을 말한다. 지치고 힘든 이에게 편안한 자리를 내어주는 것도 소중한 보시행(布施行)인 것을 잊지 말아야 하느니라.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8?1261755005.jpg)
7. 방사시(房舍施)
사람으로 하여금 편안하게 쉴 수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라는 것이다. 굳이 묻지 않고 상대의 속을 헤아려서 도와주는 것이다. [찰시察施]
![](http://img.blog.yahoo.co.kr/ybi/1/63/eb/ramanadass/folder/223/img_223_6467_2?1261755005.jpg)
"네가 이 일곱 가지를 행하여 습관이 붙으면 너에게 행운이 따르리라"
|